초음파 검사는 산모들의 배에 초음파 단자를 놓고 여기서 나오는 초음파가 태아에서 반사돼 나오는 것을 영상으로 볼 수 있게 만든 장치이다. 최근 초음파 검사는 필수 검사의 하나로서 여겨지고 있으며 모든 산모에게 시행하는 검사가 됐다. 하지만 선진 미국에서조차 산모에 있어서 초음파 검사의 유용성이 의문시 되고 있으며 선천성 기형에 대한 진단률도 8.7%에서 높게는 78.3%까지 보고되고 있지만 평균 50%에서 60%정도로 매우 낮은 실정이다. 초음파 검사만 하면 모든 기형을 진단할 수 있다는 일반인의 기대와 실제 초음파 검사의 한계는 종종 문제를 야기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점을 고려해 정밀 초음파 검사를 시행하게 됐다. 정밀 초음파 검사는 일반 초음파 검사에서 이상 소견이 있거나 기형아 검사 양성인 경우에 시행하는 것으로 숙련된 검사자에서 좋은 장비로 세밀하게 태아를 관찰하는 것으로 정의할 수 있다. ◇ 정밀 초음파 검사의 종류 임신 제 일삼분기(12주까지) 초음파 검사 ① 임신낭의 위치 ② 배아나 태아의 확인 ③ 태아의 수, 쌍태아 유무 ④ 태아의 심박동 유무 ⑤ 정둔장의 측정 ⑥ 자궁이나 골반 종괴의 확인 ◇ 임신 1
융모막 검사 융모막 검사는 임신 10주와 12주 사이에 시행하는 유전 검사 방법으로 장차 태반이 될 융모를 검출해 염색체 검사를 실시하는 것이다. 카세터를 자궁 경부나 배를 통해 자궁 내로 들어가 융모를 검출하는 방법으로 장점은 가장 빠른 시기에 다운증후군 같은 염색체 이상을 진단할 수 있으며 단점은 시술이 어렵고 유산의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Q. 왜 융모막 검사를 받아야 하나요? 일반 산모들이 모두 융모막 검사를 받는 것은 아니고 앰색체 이상이거나 기형의 가능성이 정상보다 높은 산모가 그 대상이 된다. 위험성이 높아도 검사를 받지 말아야 할 대상은 임신 초에 출혈이 있는 경우이다. Q. 누가 융모막 검사를 받아야 하나요? ① 분만 예정일의 나이가 만으로 35세 여성 ② 전에 기형아를 출산한 경우, 특히 염색체 이상으로 진단된 경우 ③ 가족들 중에 기형아를 출산한 적이 있는 경우 Q. 정확도는 어느 정도인가요? 99% 정도에서 염색체 이상을 진단할 수 있다. 이는 단지 염색체 이상에 한정된 것이고 염색체 이상 외에 기형이 진단되는 것은 아니다. 양수 검사 양수 검사는 초음파를 보면서 엄마의 배에 얇은 바늘
기형 검사는 모체 혈액을 5cc 정도 뽑아 혈청 속에 있는 세 가지 표지물질(Alpha-Protein, Unconjugated Estriol. hCG)를 검사함으로써 염색체 이상(다운증후군, 에드워드 증후군)과 신경관 결손의 위험도가 높은 산모를 선별하기 위해 시행하는 검사다. 세 가지 표지물질을 측정하고 각 표지물질의 임신 주수별 중앙값으로 나눈 값과 산모연령을 컴퓨터에 입력시켜 다운증후군의 위험도를 산출하게 된다. Q. 검사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무엇인가요? 세 가지 검사 중 Alpha-Protein의 검사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임신 주수, 임산부 체중, 당뇨병 유무, 쌍태아 아기 때문에 검사 전에 이에 대한 정보가 있어야 한다. Q. 기형아 검사는 언제 받아야 하나요? 임신 14주와 25주 사이면 분석이 가능하나 15주와 22주 사이에 시행하는 것이 좋다. 정확도나 후가적인 검사 가능성을 대비해서 15주와 18주 사이에 시행하는 것이 가장 타당하다. Q. 검사 결과가 양성이면 기형아를 임신한 것인가요? 검사 결과가 양성이라고 해서 기형아를 임신한 것이 아니며 음성이라고 해서 기형아가 아니라는 것은 아니다. 기형아 검사
중추 신경계는 뇌와 척수와 같은 몸 중앙에 위치한 신경계를 말한다. 임신 초기에 신경관이 형성되면서 중추 신경계가 발생하는데 이 과정에서 문제가 있어 이상이 생기게 된다. ◇ 수두증 태아 뇌 안에는 뇌척수액이 순환하고 있는데 순환경로가 막히거나 혹은 과다하게 생성돼 뇌척수액이 증가돼 있는 경우를 말합니다. 태어난 신생아의 예후는 뇌실이 커진 정도 혹은 동반된 기형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나기 때문에 기형전문의와 자세한 상담이 필요하다. ◇ 신경관 결손 신경관 결손의 대표적인 경우는 두개골이나 뇌조직이 없는 '무뇌아'나 척추뼈의 결손이 있는 '척추이분증'이 대표적이며 두개골에 결손이 있는 '뇌류'도 이 범주에 속하게 된다. ◇ 맥락막 낭종 태아 뇌실 내에 정상적으로 존재하는 맥락막 속에서 낭종이 관찰되는 것으로 임신 중반기에 1~2%의 산모에서 나타나게 된다. 임신 26주가 되면 없어지며 애드워드 증후군과 연관성이 있을 수 있다. 맥락막 낭종이 있는 태아에서 문제는 양수검사를 시행할 것인가 하는 문제인데 여러 가지 견해가 있으므로 담당 기형전문의와 상담이 필요하다. ◇ 전전뇌증 사람의 뇌는 두개로
앞으로 임신·출산 진료비 지원, 엽산·철분제 제공, KTX 요금 할인신청, 에너지 바우처 지급 등 임산부에게 제공되는 서비스를 정부24나 주민등록 주소지 관할 보건소 및 주민센터를 통해 한 번에 안내받고 신청할 수 있게 된다. 행정안전부(장관 전해철)는 보건복지부(장관 권덕철), 우정사업본부(본부장 박종석) 및 관계기관과의 협업을 통해 임산부에게 제공하는 각종 서비스를 통합 안내하고 신청할 수 있는 ‘맘편한 임신’ 통합제공 서비스를 4월 19일부터 전국에서 실시한다고 밝혔다. 지난 2020년은 우리나라 출생아 수가 27만 명으로 역대 최저치를 기록한 해로 처음으로 사망자 수가 출생아 수를 앞지르는 인구 데드크로스가 발생했으며 올해에도 3개월 연속 인구 감소세가 지속되고 있는 상황이다. ‘맘편한 임신’ 통합제공 서비스는 이러한 저출산 문제를 극복하고 아이 낳아 키우기 좋은 환경을 만들기 위해 지난해 6월부터 20개 시·군·구를 대상으로 시범 도입됐다. 시범 도입을 통해 그간 임산부가 보건소·주민센터·한국철도 등 개별서비스 제공기관